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1.01.31
- 저자
김규옥,문영준,김영국,이석주,조선아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05 Page

-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정부는 제4차산업혁명을 국가의 중요한 정책 목표로 설정하여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기술은 인간이 운전중에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완전한 자율주행기술을 도로에서 운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도로교통의 인프라 기술도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5년간의 중기와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장기 관점의 미래 교통물류 분야의 전망을 통해 정부가 주목해야 할 교통물류 분야의 기술 분야와 이를 지원하는 교통물류 분야의 기술을 조망하고 정책 제언하고자 한다.
나.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교통물류 분야의 미래를 전망하고,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 「자동차관리법」에서 정한 “자동차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미래 비전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2050년 이상의 교통물류 및 관련 분야의 장기 전망을 통하여 미래형 교통수단의 도입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하 원문 확인> -
요 약 xii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절차 2
제2장 자율주행 관련 기술 현황과 전망 5
제1절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5
제2절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술개발 현황 17
제3절 자율주행 핵심기술 변화 방향 34
제4절 자율주행 지원기술 62
제5절 시사점 71
제3장 자율주행 정책추진 현황 분석 75
제1절 국내 자율주행 정책추진 현황 분석 75
제2절 국외 자율주행차 정책추진 현황 분석 106
제3절 시사점 124
제4장 자율주행 교통물류체계 미래상 127
제1절 자율주행 교통물류체계 미래 전망 분석 127
제2절 2025 자율주행 교통물류 미래상 144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58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