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대중교통 부족지역 등 DRT 도입 지침(안) 연구
  • 발간일

    2024.10.31

  • 저자

    임서현,홍성진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48 Page

#DRT #대중교통 부족지역 #지침
이슈페이퍼 2024-08.jpg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2023.10)으로 농어촌지역, 대중교통 부족지역에서 광역교통개선대책 미완료지역, 환승시설 연계 곤란 지역, 심야시간대 불편지역, 기존 노선 폐지·단축 지역, 규제특례 실증을 거친 지역으로 수요응답형 운송사업을 도입 허용 대상이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버스 비수익비효율 심화 노선 대체, 도시형 교통모델의 운영 합리화 방안, 공간적 교통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e Transport, 이하 DRT)을 도입을 검토하는 지자체가 늘어나고 있다.

지역 유형과 교통 현안 대응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이 서비스 대안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도입 타당성 검토, 합리적인 서비스 운영모델 탐색, 수요응답형 운송사업 추진 등 지자체별 수요응답형 교통 도입 시 행정적·운영적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하 원문 참조>
요 약

 

.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주요 내용 1

 

.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 법제도 및 추진사업 여건 2

1. 수요응답형 운송사업 법·제도 변화 2

2. 수요응답형 여객자동차 운송사업 추진 경위 3

 

. 지자체 DRT 도입 유형 및 운영현황 4

1. 광역지자체 주도형 시DRT 확대 4

2. 지방도시 비효율비수익 심화 버스(벽지)노선 대체 DRT 확대 8

3. 지역주민과 방문객 이동 편의 개선을 위한 관광형 DRT 도입 10

4. 지방소멸 대응, 이동권 확보 대안으로 DRT 확대 필요 12

 

. 대중교통 부족지역 등 DRT 도입 주요 검토사항 16

1. 버스노선 개편 등 DRT 도입과 대중교통체계 재구조화 병행 추진 16

2. DRT 도입 검토 주요 내용 18

3. DRT 운영시스템 및 운행방식 20

 

. DRT 지원사업 관리체계 기반마련 방향 22

 

. 대중교통 부족지역 등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도입지침() 25

1.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도입 검토 가이드라인 25

2.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 개념 정의 25

3. 수요응답형 운송사업 도입 절차 29

4. 수요응답형 운송사업 운영계획 수립 31

5. 지자체 운영지원 조례 제정 시 주요 내용 41

 

참고문헌 43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