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브랜드 택시 활성화 방안 연구
  • 발간일

    2010.04.12

  • 저자

    강상욱,최은정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15 Page

#브랜드택시 #브랜드택시현황 #브랜드택시문제점 #브랜드택시활성화 #택시사업 #택시정책 #택시서비스
기본연구이미지

최근 들어 택시사업에 브랜드화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7개 광역단체를 비롯하여 10여 개 지자체에서 다양한 브랜드 택시가 운영되고 있다. 브랜드택시는 최근 들어 공급과잉문제로 몸살을 겪으면서, 택시시장이 과거에는 택시가 손님을 고르던 시대에서 손님이 택시를 고르는 시대로 바뀌면서 택시사업에도 경쟁 없이는 손님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현재 운영 중인 브랜드 택시는 단순히 민간사업자의 자생적인 경쟁에 의하기보다는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재정 지원하에 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브랜드 택시정책의 성공은 정책적으로나 택시사업의 장래발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대부분의 브랜드 택시는 초기 단계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름뿐인 브랜드로 차별화된 서비스 콘텐츠가 결여되거나, 대부분 영세한 콜 사업자에 의존하는 문제, 사업자나 당국의 택시서비스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부재,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용자 입장에서 브랜드 택시라 하지만 ‘그 택시가 그 택시’라는 점이다. 즉 차별화된 서비스나 개선된 서비스의 특화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수도권의 택시이용자 중 절반은 브랜드 택시가 일반택시에 비해 차별성이 없으며, 택시 이용 시 브랜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다. 브랜드는 일종의 고객에 대한 약속이다. 고객에 약속된 브랜드가 내세우는 차별화된 서비스의 유지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지속적인 택시고객 창출을 위한 브랜드 택시사업은 성공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외국의 몇몇 성공사례를 참조하여 향후 브랜드 택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가 현재 확산 시행되고 있는 지자체의 브랜드 택시정책에 반영되어 우리나라 택시사업의 발전과 택시이용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택시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 3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수행과정 / 5
제4절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 7

제2장 브랜드 택시의 현황 및 문제점 9
제1절 택시산업 관련 현황 / 9
제2절 브랜드 택시의 현황 / 15
제3절 브랜드 택시의 문제점 / 34

제3장 외국의 브랜드 택시 사례 검토 37
제1절 외국 주요도시의 택시정책 검토 / 37
제2절 일본 MK택시의 성공사례와 시사점 / 44

제4장 브랜드 택시에 대한 설문조사·분석 53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53
제2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 54
제3절 브랜드 택시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 64

제5장 브랜드 택시의 활성화 방안 67
제1절 브랜드의 성공조건 / 67
제2절 브랜드 택시의 발전 방안 / 71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7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77
제2절 정책건의 / 79

참고문헌 82
부록 : 설문조사지 84
Abstract 91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