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2.11.30
- 저자
모창환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93 Page

-
경제발전과 이에 따른 복지 수준의 향상은 가치관에 변화를 가져 왔으며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활동의 종류와 범위가 확대되면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변화하는 교통수요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지 못하는 면이 있어 국민 개인이나 사회 전체에 유형무형의 피해가 따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산업화 초기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경제 및 사회발전에 공헌을 해온 것으로 평가받던 교통부문이 현재는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의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으며,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수많은 사상자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교통부문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교통문제를 바라보고 해법을 모색하는 우리의 사고방식, 즉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린 지금까지 길이 막힌다고 뚫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습니다. 이제 차량 소통 위주의 교통연구뿐만 아니라 교통이 막히는 사회경제적 원인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나아가 시민의 교통 접근성 증대를 모색하는 교통학 체계를 만들어 내는 데도 진지하고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렇게 교통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교통에 대한 종래의 개념에서 벗어나, 교통이 복지의 기본이며 필수 조건이라는 전제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교통지식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에서 인간 중심의 교통체계로의 전환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는 교통학 체계 개편을 위한 하나의 시작에 불과한 것입니다. 향후 교통학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통학이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하고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교통학이 교통문제의 해결에 좀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개선됨으로써 국민 생활의 질이 개선되는 데 더욱 크게 기여하기를 기대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로 조언을 해 주신 원내‧외의 자문위원님께 연구진을 대신하여 감사드리며, 연구 수행에 노고를 아끼지 않은 연구진에게도 감사드립니다.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제3절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 7
제2장 교통학 학문영역 현황과 문제점 / 10
제1절 교통학 학문 영역 현황 / 10
제2절 교통학 학문 영역의 문제점 / 22
제3장 외국 교통학 학문 영역의 현황 및 시사점 / 32
제1절 외국 교통학 학문 영역의 현황 / 32
제2절 외국 교통학 학문 영역 사례 분석의 시사점 / 47
제4장 교통학 체계 개편 방향 / 49
제1절 교통학 목표와 이념 재정립 / 49
제2절 교통학 대상과 내용 재정립 방향 / 77
제5장 교통학 체계 개편 방안 / 88
제1절 교통계획과 공학의 발전 방안 / 88
제2절 교통정책학‧행정학‧법학의 도입방안 / 114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66
제1절 결론 / 166
제2절 정책 제언 / 168
참고문헌 / 171
Abstract / 175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