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알림
KOTI 교통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한국토지주택공사 업무협약서」 체결식

- 일시
- 2020년 11월 27일
- 장소
- 본원 2층 소희의실
한국교통연구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11월 27일(금) 「빅데이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서」 체결을 서면으로 진행했다.
본 업무협약은 상호간의 유기적인 빅데이터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토교통 분야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선순환적 빅데이터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양 기관의 공동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자세히보기「2021 교통∙물류 발전전망 원내 세미나」 개최

- 일시
- 2020년 11월 24일
- 장소
- 본원 2층 대희의실
2020년 11월 24일(화) 본원 2층 대회의실에서「2021 교통·물류 발전전망 원내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2021년도의 교통·물류·항공부문 주요 지표 전망을 통해 정부 정책 수립 및 기업의 사업계획 지원 목적을 위한 원내 세미나로 오재학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본원의 싱크탱크 역할 강화를 강조하였으며, 김주영 본부장, 김찬성 팀장, 모창환 선임연구위원, 이태형 본부장, 송기한 본부장, 신희철 본부장 등이 참석하여 활발한 발제 및 토론을 펼쳤다.
자세히보기「교통빅데이터 온라인 로드쇼」 개최

- 일시
- 2020년 11월 19일
한국교통연구원은 교통 데이터 수요기관의 온라인 매칭을 통해 수요처의 니즈와 수요처 POOL을 확보하고 참여기관 간 교류의 장을 제공하고자「교통빅데이터 온라인 로드쇼」를 개최하였다. 온라인 로드쇼는 비대면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를 비롯해 10개 센터가 참여했다.
행사에서는 공공과 민간의 모빌리티 데이터 협력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인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에 대해서 설명에 이어 참여기관의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한국교통연구원은 이번 로드쇼를 통해 "데이터 기반 신규 서비스 발굴과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 데이터의 2차·3차 가공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기고] 유례없는 ‘입법·사법·행정‘분리, 행정수도가 필요하다](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012/magazin01.jpg)
미국과 네덜란드, 호주 등의 국가는 행정수도를 이전했으며 주요 기관 간 거리가 가까워 업무를 처리하기 편리 하지만 우리나라는 국회와 중앙정부 간 거리가 150km 이상 떨어져 있으며 입법·사법·행정 주요시설 간 거리가 멀어 효율적이지 않아..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과감한 전략과 대책 강구할 필요
![[기고] 편리한 공유모빌리티, 불편함을 공유하지는 말자](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012/magazin02.jpg)
최근 공유모빌리티 이용 급증..하지만 길 여기저기에 공유 전동킥보드를 세워놓는 등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는 상황
최소한 타인의 보행을 방해하는 곳에 공유교통수단을 세워놓지 말아야..개인 공간과 시간을 존중하면 보행 중 부딪힘과 차량접촉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
양보와 배려 등 기본의식에 대한 교육과 홍보, 부모 세대의 모범적 실천이 필요
![[기고] 전동 킥보드 안전, 최소한 헬멧은 써야](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012/magazin03.jpg)
코로나 19로 대중교통 대신 개인형 교통수단(PM) 이용..하지만 사고 발생률 증가
이륜자동차에 속하는 전동킥보드 운전자는 안전모 착용 대상에 속하지만, 안전 보호구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
전동 킥보드는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안전장치도 없기 때문에 사고에 취약..국가에서 정하는 최소한의 안전기준 지킬 필요
대도시권 공간구조 개편과 연계한광역철도망 구축·운영 방안 연구
기존에 수립된 3차례의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및 대도시권 광역교통 기본계획에서는 전국 및 광역권을 연결하는 합리적인 철도망을 갖추려 노력하였으나, 대도시권의 경우 사회경제 여건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도시 내부 간 통행패턴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고 시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지자체 등이 요구하는 철도시설을 계획함에 따라 체계적인 철도망 구축에 어려움이 발생하였음.
따라서 최근 계획되고 있는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및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 수립에 앞서 대도시권 공간구조 개편 방향과 연계하여 광역철도에 요구되는 역할과 기능에 대해 분석을 하고, 이를 토대로 광역철도망의 체계적 구축과 운영의 방향을 사전에 검토할 필요가 있음. 이에 대도시권 공간구조 및 광역통행 특성의 변화 추이를 광역권별로 비교하여 검토하며, 수도권에서는 광역철도역이 해당 지역에서 차지하는 중심지 기능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도시권의 공간구조 개편과 연계된 광역통행 특성 및 규모에 부합하는 광역철도망 구축 및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음.

(우)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B)
TEL. 044-211-3114 FAX. 044-211-3222
Copyrigh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교통연구 동향 및 연구원 관력 소식을 카카오톡으로 수신하기 원하실 경우 클릭해주세요!
구독신청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