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알림
KOTI 교통연구원이달의 주요행사
기고 및 언론활동
[기고] 미래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서두르지 말고 치밀하게 준비해야!
![[기고] 미래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서두르지 말고 치밀하게 준비해야!](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110/magazinimg01.jpg)
新모빌리티를 요구하는 미래 시대가 다가오는 동시에 메가 도시의 출현으로 교통혼잡은 날로 심해질 것..
미래 도시 교통문제 해결 방안은 도심형 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단기간의 성과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올바른 정책 방향과 시간을 가지고 치밀하고 차분하게 준비해야.. 기고문 보기
2021기본연구
무인항공기산업 발전 국가전략 수립 연구
- 연구목적
-
- 국가 공역 내 무인항공기의 완전한 통합 운용을 목적으로 무인항공기 산업 발전 제고와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 정착을 위한 발전전략 모색
- 주요 연구내용
-
- 국외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 사례연구
-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 사례연구
- 무인항공기 유형에 따른 국내·외 사례연구 결과 비교 분석
- 국내 무인항공기 국가전략 우선순위 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항공 네트워크 변화와 대응 전략
- 연구목적
-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국제항공시장 변화 비교분석과 우리나라 항공시잔 현상황 진단을 바탕으로 국제항공 대응전략 모색
- 주요 연구내용
-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항공시장 동향
- 전염병 전파 양상과 항공 네트워크 변화 양상 간 관계분석
- 전염병 확산 대응 항공시장 복원 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소개
항공기 지연결항 분석 및 관리 체계 개선 연구
항공기 지연은 용량 대비 교통량(V/C)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도로, 철도와 같은 공로수단과 달리 공항, 항공사, 승객, 기상상황 등 매우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체기 투입 등의 어려움으로 한 번 발생한 지연이 이어지는 항공 스케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지연 기준 개정 추진에 발맞춰 실제 우리나라 항공기 지연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항공기 지연 특성 확인과 함께 지연 관련 정책 및 법제도 개선안을 제시함.
연구결과 의학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생존분석을 활용하여 실제 국내선 제주공항, 국제선 인천공항의 지연이 타 공항 대비 빈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시간 이내의 G/T를 가지는 항공편 기준 분석 결과 여유시간(버퍼)의 존재가 지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또한, 발생한 지연을 신규발생지연과 파급지연으로 구분하여 타 공항 및 노선 지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항과 노선을 분석하였으며, 실제로 제주발 노선과 함께 김포, 청주, 군산 등에서 제주로 향하는 노선의 지연 파급효과가 큰 것을 확인하였음.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교통연구' 제28권 제4호에 게재할 논문을 공모합니다.
- 참여대상
- 관련 분야 전문가 및 대학원생
- 논문종류
- 학술논문, 정책논문 등
- 논문접수 마감
- 2021.10.31.(일)
- 논문접수 방법
- 담당자 이메일(journal@koti.re.kr) 제출
(우)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B)
TEL. 044-211-3114 FAX. 044-211-3222
Copyrigh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교통연구 동향 및 연구원 관력 소식을 카카오톡으로 수신하기 원하실 경우 클릭해주세요!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