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지원 사업
광역교통문제 심화 ⊙특‧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대도시권의 인구밀집으로 주거공간의 확대‧팽창으로 광역통행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광역교통의 양적, 질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지역별로
2025.02.03연구 연구 보고서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5 인구소멸지역 모빌리티 혁신 지원사업
대중교통 낙후지역 및 교통소외지역 해소 지속적인 교통분야 국정과제 아젠다로 추진 ⊙ 지방도시는 대도시에 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고 고령화 인구 증가로 인한 버스 이용 불편으로,
2025.02.03연구 연구 보고서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대중교통 부족지역 등 DRT 도입 지침(안) 연구
0.4pt">으로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농어촌지역
2024.10.31연구 연구 보고서 수시연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4-10
[시론] 교통서비스 격차 해소와 민간 부문의 역할,[특집1] 모빌리티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지방시대,[특집2] 고속도로 물류수송시스템의 현재와 미래,[특집3] 자율주행 Lv.4/4+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특집4]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개발 및 실증계획,[특집5] 민자도로사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강화 방안,[특집6] 민자철도 운영평가 제도 진단을 통한 발전방안,[특집7] 교통 민간투자사업의 수요분석 이슈,[KOTI가 만난 사람] 박정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인프라 부족이 지역소멸로 이어지는 모순 없애려면 교통혁명 이루어야”,[사진으로 본 교통] 두바이 교통, 무인전철부터 수상택시까지 교통 네트워크 ‘촘촘’,[통계로 본 교통·물류] 국내 택배시장 물동량 추이, 택배이용 횟수 추이, 택배 종사자 근로실태 등,[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한국해양진흥공사, ‘국가 물류 인증제도 합동 설명회’ 개최 외,[숨은 교통 찾기] 지방소멸의 방지를 위한 거대도시권 구축 방향,[기고] 한국형 도로안전도 평가 기술의 개발,[안테나1] 우즈베키스탄 교통 공무원 및 전문가 대상 역량강화 연수,[안테나2] 2024년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참관기,[글로벌 교통 동향] 미국의 대중교통을 바꾸고 있는 10가지 트렌드,[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화물차 운전시간 총량제한이 필요한 이유
2024.10.22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3-03
[시론] 모빌리티 시대, 고속도로의 진화,[특집] 모빌리티 시대, 도로의 혁신과 과제,[특집1] 지하고속도로 추진 현황 및 계획,[특집2] 모빌리티 혁신 고속도로 추진계획,[특집3] 어린이 통학용 자동차 지원제도 개선방안,[특집4] 지하고속도로 상부공간 대중교통 확대 방안,[특집5]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방안,[KOTI가 만난 사람] 정진혁 대한교통학회 제21대 회장 "모빌리티 시대 주도하는 교통학회, 미래 40년을 준비하겠습니다",[사진으로 본 교통] 싱가포르의 교통물류를 보다,[현장탐방] 승용차 대신 친환경 통합 모빌리티로 - 네이앤컴퍼니, 친환경 MaaS 플랫폼 ‘네이버스’로 주목,[통계로 본 교통·물류] 북한 자동차 등록대수, 북한 도로 총연장 및 고속도로 길이 등,[KOTI NEWS] ‘제15기 항공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 ‘모빌리티 혁신 포럼 출범식‘ 개최 외,[숨은 교통 찾기] 미래 모빌리티 시대, 주차장도 달라져야 한다,[기고] ‘뚜벅이 여행자‘의 효율적 여행을 위한 선택,[안테나] 모빌리티 미래 비전 제시를 위한 ‘모빌리티 혁신 포럼‘ 출범,[글로벌 교통 동향]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Piedmont Triad 지역의 버스노선평가 프로그램,[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부족한 수소·전기차 충전소, 더 늘릴 수 없을까?
2023.03.22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中, 세계 최고속 엔진 개발에 착수
중국고속철도는 대접받기에 부족함이나 부끄럼이 없는 세계최고속도의 고속철도가 되었다. 2008년 8월 1일부터 중국은 베이징-텐진 간 철로부터 우한-광저우 , 베이징-상하이, 장강삼각주
2010.10.21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중국 -
중국 금년 철도건설에 6000억 위엔 투자(我国铁路建设今年投资6000亿)
이를 통하여 철도의 수요대비 공급부족에 따른 병목현상은 기본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08년 중국에서 새로 착공된 철도프로젝트는 총 80여건으로 투자규모는 약 1조위엔을
2009.03.13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중국
-
앞으로 30년, 혁신성장을 선도할 도시 인프라 구축방향
국가 스마트 인프라 재정비의 적기(適期)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1990년대는 전국 79 장기간선망계획, 대도시권 광역교통망계획, 2000년대는 대중교통시스템 혁신과 보행친화도시가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
자율주행 택시는 기대해도 되는가?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최소 교통서비스 제공은 국가의 책 임이라는 인식은 널리 확산된 반면에 이를 뒷받침할 대중교통 인프라와 재원 은 늘 턱없이 부족하며, 국내의 경우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 신년사
수도권 교통난의 원인으로 지목된 선개발 후교통 정책이 교통을 우선시하고 선교통 후개발로 신도시 개발과 지역개발의 패러다임 변화를 정착 시킨 데에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실천하고자 하는
2019.01.01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 -
[오재학 원장 신년사]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교통정책, 한국교통연구원이 앞장서겠습니다
특히, 국가교통안전체계혁신, 출퇴근 교통난 및 만성적 교통정체 해소, 소외지역 이동권 개선, 교통공공성 강화, 교통안전과 대중교통서비스가 중시되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북방경제 교통물류협력
2018.02.19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